티스토리 뷰

반응형


요즘에는 회사에서 정년퇴직까지 장기간 근무를 하시는 분들이 그리 많지 않으면서 다른 회사로 옮겨다니면서 근무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. 한 직장에서 장기간 근무를 하면 경력과 노하우가 쌓이면서 근무숙련도도 올라갈 수 있는데요.



수명이 길어지면서 노후대책도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기 때문에, 국가에서는 정년퇴직 이후에도 자신의 의지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근무를 할 수 있도록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여 해당기업들에게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.



회사측에서는 장기간 근무한 전문가가 퇴직하면서 생기는 공백을 없앨수 있으며, 정년 퇴직인 사람도 근무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좋은 제도이긴 합니다. 하지만 퇴직 이후에는 자신의 급료는 퇴직 전 급료보다는 적은 금액으로 근무를 하는 것입니다.



일반적으로 직장에 1년 이상을 근무하는 경우 퇴사 시 퇴직금을 지급 받을 수 있는데요. 요즘에는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기 보다는 퇴직을 하고 다른길로 뛰어드는 중장년층이 많아지면서 자신의 퇴직금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텐데요.



오늘은 퇴직금 조건 및 계산방법을 알아보도록 할텐데요. 좋든 싫든 회사를 그만두게 되는 경우 퇴직금은 자신의 권리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제대로 지급받기 위해서는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


회사에서 1년을 근무하고 퇴사를 하게 되면 퇴직금 계산은 "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" 을 산정을 하게 되면 그 금액이 1년을 근무한 퇴직금에 해당하는데요.



하지만 장기간 근무를 하게 되면 급료상승 및 퇴사날짜에 따라서 계산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. 그런 경우에는 퇴직금 계산기를 통해서 간단하게 입력만 하면 자신의 퇴직금 금액을 간단하게 확인이 가능한데요.



포털 검색창에서 "고용노동부" 를 검색하시면 해당 공식홈페이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. 메인페이지에 검색창에 "퇴직금"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.



퇴직금 관련된 보도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. 하단에 있는 '나의 퇴직금 계산해 보기' 를 클릭을 하면 새창으로 넘어가면서 "퇴직금 계산기" 가 나옵니다.



퇴직금 계산기에서 입력 할 수 있는 빈칸 항목에 입력을 하시면 간단하게 퇴직금을 계산 할 수 있으며, 아래의 예제처럼 입력을 하시면 간단하게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

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는 어느정도 정확하지만, 회사 내규 급료에 대한 내용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.



자신의 퇴직금 미리 계산을 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"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" 로 바로가기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
▶▶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◀◀


퇴직금 조건은 회사나 직장에서 1년 이상, 4주간 평균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 근로자에게는 퇴직금을 지급 받을 수 있으닌 제대로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


오늘은 퇴직금 조건 및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 직장에서 1년 이상을 근무하시면서 위와 같은 퇴직금 조건이 충족된다면 지급을 받을 수 있으니 제대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.

반응형
댓글